문재인 대통령이 5월 31일 P4C 서울 녹색미래 정상 회의에서 그린뉴딜과 관련한 발언으로 미래 에너지 자원들이 친환경 쪽으로 기울이고 있어 탄소배출권 관련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온실가스 탄소배출권 관련주로 탄소중립 수혜주 주식 종목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탄소배출권 관련주
문재인 대통령은 2030년까지 정책금융의 녹색 분야 자금 지원 비중을 지금 두 배인 13%까지 확대하는 한편 녹색 금융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게 한국형 녹색 분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는데요.
이처럼 친환경 정책 기조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하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탄소배출권이라 함은 일정 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메테인, 아산화질소, 과불화탄소, 수소불화탄소, 육불화황 등의 6대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탄소배출권은 탄소중립 관련주라고 할 수 있는데요. 탄소중립은 인간이 배출한 탄소를 다시 흡수하는 방법을 통해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으로 다른 이름으로는 넷제로(Net Zero)라고 불립니다.
한솔홈테코 분석
한솔그룹 계열사로 주로 종합건축자재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국내 최초로 해외조림사업(Hansol Newzealand Ltd.)에 진출하여 탄소배출권을 확보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1,889억 원입니다.
다만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보면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으며 추후 흑자로 전환되면 괜찮지만 계속해서 적자를 내는 기업은 아무래도 투자가 망설여지는 면이 있습니다. 그래도 한솔홈데코의 경우 미래가치가 주목받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최초로 마루 전문 쇼핑몰 마루스토리 를 오픈하여 셀프 인테리어 정보 및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재건축·재개발 규제로 인해 노후 주택에 대한 리모델링 수요가 나타나면서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휴켐스 분석
휴켐스는 2002년 9월 15일에 설립된 회사이며 2002년 10월 7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희질산공장에 온실가스인 N20를 저감하는 시설을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여 온실가스 배출권을 판매하는 CDM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탄소배출권 관련주 입니다.
2007년과 2013년에 온실가스 저감시설을 설치 및 추가하여 탄소(온실가스) 배출권 사업을 지속하고 있는 회사로 감축 규모는 연간 160만 톤 규모이고요. 회사의 전체적인 매출액은 감소하고 있지만, 그래도 꾸준히 이익을 내며 부채 비율도 줄이고 있는 회사입니다.
휴켐스는 전남 여수산업단지에 1,500억 원을 투자해 질산 6공장 신설을 추진 중에 있고요. 2024년 공장이 완공돼 가동에 들어가면 생산능력이 150만 톤으로 늘어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권 판매 사업을 통해 수익 다변화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에코바이오 분석
매립가스 및 바이오가스 관련 재생에너지 전문 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매립 가스를 활용한 상암동 수소스테이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와 66억 6088만 원 규모 수도권 매립지 매립가스 연료화 시설 위탁운영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4월 1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 금액은 2019년 말 별도 기준 매출 대비 36.6%에 해당하므로 엄청 큰 금액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계약 기간은 2022년 3월 31일까지입니다.
에코바이오의 2019년과 2020년은 매출액이 크진 않지만 흑자를 기록했네요. 2021년 1분기에는 매출액 34억, 영업이익은 6억을 기록했으며 지난 4월에는 10억 규모의 바이오메탄 자동차 연료화 시설 관리 운영을 위수탁 계약하는 등 신규 사업도 있고, 수소 사업이나 바이오 사업의 전망은 좋다고 생각됩니다.
에코프로 분석
에코프로는 1998년 10월 설립되었고 2001년 02월 주식회사 에코프로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07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절감시켜주는 기술과 장치를 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이 탄소중립이 중요한 국가인데요. 따라서 앞으로도 온실가스(탄소) 저감 장치에 대한 수요와 관심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에코프로는 제품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한 선제적인 투자, 원가 절감, 종속회사 에코프로 중국 상해 법인을 통한 영업 확대 등을 통해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고요. 2020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하면서 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그린케미칼 분석
그린케미칼은 정밀화학제품을 주로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시가총액은 4,128억 원입니다. 탄소배출권을 판매하는 회사라기보다는 탄소제로와 관련된 친환경 회사에 가까우며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 기술을 개발한 회사입니다.
그린케미칼의 매출은 매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네요. 최고 매출은 2017년 3분기의 679억이었으나 영업이익이 낮았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이 점점 증가하여 2020년 2분기에는 43억을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2019년 2분기를 제외하고 모두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린케미칼이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소재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보유한 만큼 정부의 저탄소 정책 추진으로 인하여 주가 전망이 밝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쟁업체에서 생산하지 못하는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ETA 부문은 국내에서 생산설비 갖춘 유일한 업체로 수입품과 경쟁하며 설립 이래 54% 이상 시장 점유율로 동종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후성 분석
후성은 냉매가스, 반도체용 특수가스, 2차 전지 전해질 소재 LiPF6을 전문적으로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는 업체이며, 국내 및 해외 법인을 통해 해당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또한 후성 기업은 후성 폴란드 유한회사를 신규 연결하여 총 4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불소를 기반으로 한 가전 및 냉매가스와 반도체용 특수가스 제조 및 에어컨용 냉매가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저감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2020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을 확인해 보면 감소를 했는데요. 원인으로는 반도체 특수가스 매출 증가로 매출이 늘었으나 기계장치 등의 추가 매입으로 매출원가가 상승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마치며
앞으로 산업과 경제 그리고 사회 모든 영역에서 탄소중립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결국 탄소저감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탄소배출권 판매 업체들에게는 기회가 되겠네요. 지금까지 온실가스 탄소배출권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투자는 추천하는 글이 아니며 투자하실 분들은 스스로 잘 판단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준석 관련주 삼보산업 넥스트아이 주가 전망
이준석은 1985년 서울 출생으로 새누리당 비상 대책 위원과 혁신위원회 위원장을 했었는데요. 이번에 국민의당 당 대표 선거에서 1위로 본 경선을 진출하면서 관련주인 삼보산업과 넥스트아이
eyudj.tistory.com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백신 전자 예방접종 증명서 발급 (0) | 2021.06.04 |
---|---|
6월 공모주 청약일정 및 기업분석 정리 (0) | 2021.06.02 |
이준석 관련주 삼보산업 넥스트아이 주가 전망 (0) | 2021.06.01 |
5차 재난지원금 추경안 지급 대상 및 일정 (0) | 2021.06.01 |
여의도 리미티오 148 위치 및 분양 공급 (0) | 2021.05.31 |
댓글